허리통증

통증은 신체가 보내는 몸의 이상 신호입니다.

허리통증,
가볍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허리는 통증 때문에 병의원을 찾는 사람 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위입니다. 허리는 인체의 중심기둥으로 사람이 직립보행을 한 이후 허리통증은 숙명처럼 따라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나 현대인들은 앉아서 생활하는 일들이 많아지다 보니 좋지 않은 자세로 인해 크고 작은 통증들을 많이 느낍니다.

근육통증으로 발생되며, 허리 깊은 곳에
쑤시는 듯한 느낌이 특징인 근막통증증후군

장시간의 앉은 자세, 굽은 등, 척추의 변위, 허리를 숙인 노동 등은 허리 주변의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하게 합니다. 긴장된 근육은 해당 근육이 늘어나는 것을 방해하면서 땡기는 통증들을 유발합니다. 허리에서 느껴지는 거의 모든 급만성 통증은 근육통을 동반하고 있기에 잘 감별해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 근막통증증후군의 진단

1. 특별한 원인 없이 뻐근한 증상이 발생
2. 통증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3. 운동범위의 제한이 발생되며 피로가 더 심해진다.
4. 통증부위가 딱딱하고 떨린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왜 나타날까요?

장시간 앉아있는 사람들은 장요근의 단축이 흔합니다.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에서 뻐근하고, 오랜시간 서있거나 똑바로 누워서 잘 때 허리가 은근하게 아픈 증상을 나타냅니다. 하후거근은 기침이나 심호흡을 할때, 복사근은 허리를 비틀때, 요방형근은 허리를 숙인 자세에서, 복직근은 허리를 젖힐 때, 둔근은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에서 특정 부위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주로 담결린다, 땡긴다, 뻐근하다고 표현을 합니다. 이상근의 긴장은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어깨동무한의원의
근막통증증후군
치료프로그램

“침치료를 통해 통증을 해소하고 복합적인 치료를 병행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움직임과 통증의 연관성, 그리고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를 자세히 관찰하면, 어떤 근육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해당근육의 경결점을 찾아서 침으로 풀어주면 단축상태가 개선되면서 통증이 해소됩니다. 자세의 문제는 운동과 스트레칭 등을 통해 바른자세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침치료만으로도 쉽게 개선되는 경우가 많고, 고질적인 경우에도 매선, 약침, 도침, 한약 등을 적절히 사용해서 1~2개월안에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한약

* 주치료 / 부치료

허리는 관절 움직임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발목처럼 삐끗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의 염좌는 허리를 숙여서 무거운 것을 들어 옮기다가 뜨끔하는 통증과 함께 잘 발생합니다. 앉아서 생활을 많이 하게 되면 슬괵근이 단축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이 경우는 허리를 숙일 때, 골반의 움직임을 방해해서 요추를 과도하게 굴곡되게 만들기에 염좌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합니다. 한번 인대가 늘어나고 나면, 허리의 불안정성이 증가가 됩니다. 연례행사처럼 일년에 한두번씩 반복적으로 다쳐서 1~2주씩 고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허리의 연부조직에 유착이 심해지고 만성화된 통증으로 발전합니다.

dongmu02_5_17

허리 염좌의
증상과 원인

허리의 염좌는 주로 극간인대, 극상인대, 장요인대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척추기립근의 하단부나 요륵인대(요방형근), 천장인대에서도 발생합니다. 염좌가 심할 때는 디스크를 둘러싼 섬유륜이 함께 찢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허리가 틀어진 자세를 하게 됩니다.

어깨동무한의원의
허리 염좌
치료프로그램

“통증 해소 후, 재발방지를 위해 자세 교정교육에 들어갑니다.”

허리의 어떤 곳에 손상이 되었느냐에 따라 특징적인 통증 양상을 나타내기에 간단한 문진과 움직임을 보는 것으로도 문제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염좌는 1~2주간의 안정과 침치료로 어느정도 회복이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후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어깨동무는 단지 통증의 해소가 아닌, 재발의 방지를 위한 환자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운동요법

* 주치료 / 부치료

척추는 면관절로 직접 관절면을 이룹니다.

척추체는 사이사이에 디스크조직을 통해 이어진 하나의 기다란 기둥처럼 이어집니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수분유지력이 떨어지면서 탄력이 감소하듯, 디스크도 수액량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그중 특히 요추4,5번은 전체 체중의 80%정도가 집중되기에 가장 문제가 많이 생깁니다. 점차 가까워지는 척추는 점점 뼈끼리의 마찰이 늘어나고, 골극이 형성이 됩니다. 골극은 주변의 연부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합니다.

dongmu02_5_19

허리 관절병변의
종류

퇴행성 척추증

골극 주변의 연부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조금 활동하다 보면 통증이 경감되고, 너무 무리한 활동을 하면 그날 저녁 욱씬거리고 아픈 통증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면관절증후군

마찰이 늘어난 면관절 또한 골극을 형성하는데 골극이 신경근의 후측 분지를 자극하면 허리 특정부위에 통증이나 감각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중 흉요추 연접부에서 발생하는 증상을 TLJ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척추관협착증

요추의 퇴행화는 후종인대, 황색인대의 비후를 유발하고 이렇게 되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협착증이 발생합니다. 허리를 펴면 증상이 증가되고, 허리를 숙이면 증상이 감소되기에, 조금 걷다가 다리가 저려서 잠시 허리를 숙이고 쉬었다가 걷다가를 반복합니다.

어깨동무한의원의
허리 관절병변
치료프로그램

“허리 관절병변치료의 목표는 건강한 척추를 되찾는 것입니다.”

허리에서 진행되는 관절병변은 관절과 척추만곡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퇴행성 질환에는 일차적으로 봉독과 강골환으로 치료를 합니다.봉독은 관절에 혈행을 증가 시키고, 회복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공사장에 인부를 불러모으는 역할과 같습니다. 강골환은 닭발을 관절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들과 함께 고농축 시켜놓은 환약입니다. 공사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3개월정도 치료를 하면 50%정도에서 개선효과를 보입니다. 유착이 심한경우엔 도침을, 허리 근력의 약화가 심할 때는 매선을, 척추만곡의 변형이 동반되었을 때는 교정을,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외감병을 동반했을 때는 한약을, 신경병증을 동반할 때는 약침 등을 적절히 배합해서 보다 입체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 주치료 / 부치료

어깨동무한의원 빠른상담담당자가 확인 후 빠르게 연락드리겠습니다.

이름
연락처
이메일
지점선택
어깨동무한의원 네트워크 (이하 '본원')은 귀하의 개인정보보호를 매우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귀하께서 제공하시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방법



본원은 회원가입 시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수집합니다. 귀하가 본원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 시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이 있는데, 메일수신여부 등과 같은 선택 항목은 입력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이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진료정보]

- 수집항목 : 성명, 주소, 연락처, 진료기록

※ 의료법에 의해 고유식별정보 및 진료정보를 의무적으로 보유하여야 하여야 함(별도 동의 불필요)



[홈페이지 회원가입 시 수집항목]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선택항목 : 이메일, 메일수신여부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서비스 제공 업무 처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방법]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홈페이지, 서면양식, 팩스, 전화, 상담 게시판, 이메일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본원은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이용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하기 목적에 필요한 용도 이외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에는 사전 동의를 구할 것입니다.



[진료정보]

-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진료서비스와 청구, 수납 및 환급 등의 원무서비스 제공

[홈페이지 회원정보]

- 필수정보 : 홈페이지를 통한 진료 예약, 예약조회 및 회원제 서비스 제공,

- 선택정보 : 이메일을 통한 본원소식, 질병정보 등의 안내, 설문조사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본원은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달성된 때에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진료정보]

- 의료법에 명시된 진료기록 보관 기준에 준하여 보관



[홈페이지 회원정보]

- 회원가입을 탈퇴하거나 회원에서 제명된 때

다만,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도 상법 등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 본인 확인에 관한 기록 : 6개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방문에 관한 기록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4.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그 방법



본원은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즉시 파기합니다.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한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파기방법에 의하여 즉시 파기합니다.



[파기방법]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5. 개인정보 제공 및 공유



본원은 귀하의 동의가 있거나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에서 고지한 범위를 넘어 귀하의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타인 또는 타기업, 기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요양급여비용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제출

- 통계작성, 학술연구, 책출판 등 각종 저작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

- 법령에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 제출 등


6. 수집한 개인정보의 취급위탁



본원은 서비스 이행을 위해 개인정보를 위탁하고 있지 않으나, 관계 법령에 따라 위탁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원의 개인정보 위탁처리 기관 및 위탁업무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7. 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만14세 미만 아동(이하 "아동"이라 함)의 회원가입은 아동이 이해하기 쉬운 평이한 표현으로 작성된 별도의 양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인정보 수집시 반드시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구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기 위하여 아동으로부터 법정대리인의 성명과 연락처 등 최소한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취급방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고 있습니다.

아동의 법정대리인은 아동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아동의 개인정보를 열람, 정정,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원정보수정을 클릭하여 법정대리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아동의 개인정보를 법정대리인이 직접 열람, 정정, 삭제하거나, 개인정보보호책임자로 서면, 전화, 또는 Fax등으로 연락하시면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본원은 아동에 관한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하지 않으며, 아동으로부터 수집한 개인정보에 대하여 법정대리인이 오류의 정정을 요구하는 경우 그 오류를 정정할 때까지 해당 개인정보의 이용 및 제공을 금지합니다.

※ 법에 의해 보관이 의무화된 개인정보는 요청이 있더라도 보관기간내에 수정, 삭제할 수 없습니다.


8. 동의철회 / 회원탈퇴 방법



귀하는 회원가입 시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및 제공에 대해 동의하신 내용을 언제든지 철회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탈퇴는 본원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의 『회원탈퇴』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회원탈퇴를 하시거나, 개인정보관리책임자로 서면, 전화 또는 Fax 등으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파기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습니다.


9.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본원은 귀하의 정보를 수시로 저장하고 찾아내는 '쿠키(cookie)'를 운용합니다. 쿠키란 본원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가 귀하의 브라우저에 보내는 아주 작은 텍스트 파일로서 귀하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됩니다. 본원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귀하는 쿠키 설치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귀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옵션을 설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쿠키가 저장될 때마다 확인을 거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회원님께서 쿠키 설치를 거부하셨을 경우 일부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10.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귀하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원은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관리책임자를 두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이름 : 김성민

직위 : 어깨동무한의원 원장

소속 : 어깨동무한의원

전화번호 : (02) 3448-7575

메일 : test@naver.com

귀하께서는 본원의 서비스를 이용하시며 발생하는 모든 개인정보보호 관련 민원을 개인정보관리책임자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본원은 이용자들의 신고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기타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신고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아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분쟁조정위원회 (http://www.1336.or.kr / 1336)

정보보호마크인증위원회 (http://www.eprivacy.or.kr / (02) 580-0533~4)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http://www.spo.go.kr / (02) 3480-3573)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http://www.ctrc.go.kr / (02) 392-0330)


11.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본원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책으로서 여러 보안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보내시는 모든 정보는 방화벽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보안시스템에 안전하게 보관/관리되고 있습니다.

또한 본원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관리적 대책으로서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및 관리에 필요한 절차를 마련하고,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인원을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지속적인 보안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사용자를 지정하여 사용자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갱신하겠습니다.


12. 정책 변경에 따른 공지의무



이 개인정보취급방침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에의해 제정되었으며 법령, 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의 추가, 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변경되는 개인정보취급방침을 시행하기 최소 7일전에 본원 홈페이지를 통해 변경이유 및 내용 등을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고일자 : 2012년 3월 06일

시행일자 : 2012년 4월 01일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동의합니다.
상담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