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통증은 신체가 보내는 몸의 이상 신호입니다.
허리통증,
가볍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허리는 통증 때문에 병의원을 찾는 사람 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위입니다. 허리는 인체의 중심기둥으로 사람이 직립보행을 한 이후 허리통증은 숙명처럼 따라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나 현대인들은 앉아서 생활하는 일들이 많아지다 보니 좋지 않은 자세로 인해 크고 작은 통증들을 많이 느낍니다.
근육통증으로 발생되며, 허리 깊은 곳에
쑤시는 듯한 느낌이 특징인 근막통증증후군
장시간의 앉은 자세, 굽은 등, 척추의 변위, 허리를 숙인 노동 등은 허리 주변의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하게 합니다. 긴장된 근육은 해당 근육이 늘어나는 것을 방해하면서 땡기는 통증들을 유발합니다. 허리에서 느껴지는 거의 모든 급만성 통증은 근육통을 동반하고 있기에 잘 감별해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 근막통증증후군의 진단
1. 특별한 원인 없이 뻐근한 증상이 발생
2. 통증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3. 운동범위의 제한이 발생되며 피로가 더 심해진다.
4. 통증부위가 딱딱하고 떨린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왜 나타날까요?
장시간 앉아있는 사람들은 장요근의 단축이 흔합니다.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에서 뻐근하고, 오랜시간 서있거나 똑바로 누워서 잘 때 허리가 은근하게 아픈 증상을 나타냅니다. 하후거근은 기침이나 심호흡을 할때, 복사근은 허리를 비틀때, 요방형근은 허리를 숙인 자세에서, 복직근은 허리를 젖힐 때, 둔근은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에서 특정 부위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주로 담결린다, 땡긴다, 뻐근하다고 표현을 합니다. 이상근의 긴장은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어깨동무한의원의
근막통증증후군
치료프로그램
“침치료를 통해 통증을 해소하고 복합적인 치료를 병행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움직임과 통증의 연관성, 그리고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를 자세히 관찰하면, 어떤 근육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해당근육의 경결점을 찾아서 침으로 풀어주면 단축상태가 개선되면서 통증이 해소됩니다. 자세의 문제는 운동과 스트레칭 등을 통해 바른자세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침치료만으로도 쉽게 개선되는 경우가 많고, 고질적인 경우에도 매선, 약침, 도침, 한약 등을 적절히 사용해서 1~2개월안에 치료할 수 있습니다.
※
허리는 관절 움직임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발목처럼 삐끗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의 염좌는 허리를 숙여서 무거운 것을 들어 옮기다가 뜨끔하는 통증과 함께 잘 발생합니다. 앉아서 생활을 많이 하게 되면 슬괵근이 단축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이 경우는 허리를 숙일 때, 골반의 움직임을 방해해서 요추를 과도하게 굴곡되게 만들기에 염좌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합니다. 한번 인대가 늘어나고 나면, 허리의 불안정성이 증가가 됩니다. 연례행사처럼 일년에 한두번씩 반복적으로 다쳐서 1~2주씩 고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허리의 연부조직에 유착이 심해지고 만성화된 통증으로 발전합니다.
허리 염좌의
증상과 원인
허리의 염좌는 주로 극간인대, 극상인대, 장요인대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척추기립근의 하단부나 요륵인대(요방형근), 천장인대에서도 발생합니다. 염좌가 심할 때는 디스크를 둘러싼 섬유륜이 함께 찢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허리가 틀어진 자세를 하게 됩니다.
척추는 면관절로 직접 관절면을 이룹니다.
척추체는 사이사이에 디스크조직을 통해 이어진 하나의 기다란 기둥처럼 이어집니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수분유지력이 떨어지면서 탄력이 감소하듯, 디스크도 수액량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그중 특히 요추4,5번은 전체 체중의 80%정도가 집중되기에 가장 문제가 많이 생깁니다. 점차 가까워지는 척추는 점점 뼈끼리의 마찰이 늘어나고, 골극이 형성이 됩니다. 골극은 주변의 연부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합니다.
허리 관절병변의
종류
퇴행성 척추증
골극 주변의 연부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조금 활동하다 보면 통증이 경감되고, 너무 무리한 활동을 하면 그날 저녁 욱씬거리고 아픈 통증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면관절증후군
마찰이 늘어난 면관절 또한 골극을 형성하는데 골극이 신경근의 후측 분지를 자극하면 허리 특정부위에 통증이나 감각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중 흉요추 연접부에서 발생하는 증상을 TLJ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척추관협착증
요추의 퇴행화는 후종인대, 황색인대의 비후를 유발하고 이렇게 되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협착증이 발생합니다. 허리를 펴면 증상이 증가되고, 허리를 숙이면 증상이 감소되기에, 조금 걷다가 다리가 저려서 잠시 허리를 숙이고 쉬었다가 걷다가를 반복합니다.
어깨동무한의원의
허리 관절병변
치료프로그램
“허리 관절병변치료의 목표는 건강한 척추를 되찾는 것입니다.”
허리에서 진행되는 관절병변은 관절과 척추만곡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퇴행성 질환에는 일차적으로 봉독과 강골환으로 치료를 합니다.봉독은 관절에 혈행을 증가 시키고, 회복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공사장에 인부를 불러모으는 역할과 같습니다. 강골환은 닭발을 관절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들과 함께 고농축 시켜놓은 환약입니다. 공사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3개월정도 치료를 하면 50%정도에서 개선효과를 보입니다. 유착이 심한경우엔 도침을, 허리 근력의 약화가 심할 때는 매선을, 척추만곡의 변형이 동반되었을 때는 교정을,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외감병을 동반했을 때는 한약을, 신경병증을 동반할 때는 약침 등을 적절히 배합해서 보다 입체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
* ■ 주치료 / ■ 부치료